아는 기자 시작합니다. 오늘은 아이들 백신 패스 적용에 화가 난 학부모 이야기 취재한 황규락 기자와 이야기 나워보겠습니다.
Q. 학부모들이 화나거나 불안한 부분들을 짚어보죠. 먼저, 가장 걱정되는 건, 아이들 백신 부작용이에요. 실제 부모들이 먼저 맞고 나서 아팠던 경험도 있고요. 실제는 어떻습니까.
=부모님들이 가장 불안해 하는 게, 내 아이가 백신 접종을 했다가 부작용을 겪으면 어떻게 하냐는 겁니다. 그렇다면 먼저 아이들의 이상반응이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면요.
백신을 접종한 고3 학생들과 12~17세의 이상반응 신고율을 보면 0.33%입니다. 만 명 중 33명 꼴인 건데요. 이 중 고열과 근육통 등 경미한 이상반응이 전체의 98% 정도 되고요.
심장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심근염과 심낭염은 25명 정도입니다. 이중 먼저 맞은 고3 학생 15명은 다 나았고, 늦게 맞은 10명은 조사 중입니다.
전체 백신 접종자의 이상반응 신고율이 0.46%니까, 이상반응을 보이는 비율이 비슷하거나 낮은 겁니다.
Q. 학부모가 가장 폭발한 지점은, 백신 안 맞으면 학원을 못가게 한 지점이거든요. 학습권이라는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 아니냐, 왜 강요하냐, 이건 어떻게 봐야 합니까.
=학교는 밥도 먹고 하니까 학원보다 더 감염 위험이 높은 거 아니냐, 그런데 왜 학원만 방역패스 도입하냐는 건데요. 일단 살펴보면 다른 나라에서도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학교에는 방역패스를 적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.
하지만 우리나라는 학원도 학교만큼이나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겁니다. 우리나라 학생 중 절반 이상이 학원을 다니죠. 그러다 보니까 학원에 방역패스를 도입하면 사실상 접종을 강제하는 조치로 느껴지게 되는 겁니다.
게다가 이제 기말고사가 시작되는데, 백신 접종으로 아파서 시험을 못 보면 어떻게 할거냐란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
Q. 사실 아이들은 코로나에 걸려도 크게 안 아픈 거 아닌가요. 굳이 백신을 맞아야 하는 걸까요.
=앞에 나온 기사처럼 유아나 청소년의 확진률은 60대 고령층에 맞먹을 정도로 높은데요.
반면 위중증에서는 현저하게 차이가 납니다. 위중증 774명 중 10대 이하는 1명 뿐입니다. 10대는 아예 없고요. 지금까지 10~19세는 사망자도 없었습니다. 전문가 설명 들어보시겠습니다.
[천은미 /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]
"애들은 면역이 굉장히 좋죠. 그러니까 바이러스가 들어왔을 때 몸에서 가지고 있던 기본 면역이 빨리 활성화가 되니까 방어를 하는 것도 있고요. 기저질환이 아주 심각한 경우 외에는 가볍게 앓거나 무증상이 대부분인 거죠."
하지만 정부 입장은 다릅니다. 아이들을 통해 가정 내 고령자 등에 전파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,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소아청소년의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설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
또 당장은 아프지 않더라도 감염이 또 어떻게 전파될지 모르는 상황이기도 합니다. 김부겸 총리도 오늘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“아이들이 걸려도 별거 아니라는 생각을 학부모가 바꾸는 게 어떨까 한다"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
Q. 해외는 어떤가요? 소아청소년들도 다 맞게 하나요?
=네 대부분의 주요 국가들에서는 12세 이상 소아청소년들에게 백신 접종을 하고 있습니다. 미국과 영국, 독일에서도 12세 이상 소아청소년에게 백신 접종을 하고 있고요. 일부 국가에서는 5세 이상의 어린이에게도 접종하고 있습니다.
Q. 맞는 게 훨씬 이익이라는 게 공통된 이야기인데, 그래도 정부가 설득은 하지 않고 너무 강요만 한다는 지적도 있어요.
=네, 정부는 지난 9월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을 알리면서 '자율에 맡긴다'라고 한 바 있습니다. 백신 접종을 강제하면 분명 반발이 있을 수 있다는 걸 알았던 겁니다.
그러나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뒤 방역 상황이 급격하게 나빠졌고요. 11월이 되자 정부가 갑자기 소아청소년의 접종을 강력하게 권고하게 됐는데요.
이 과정에서 학부모들을 설득하거나 백신 접종이 필요한 이유, 또는 학원에 방역패스를 도입해야하는 과학적 근거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겁니다.
여기에 대해 한 전문가는요. "학교는 안전하고 학원은 안전하지 않다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불평등하게 느껴질 수 있다"고도 말했습니다.
결국 소아청소년에 대한 접종과 방역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더라도, 정부가 너무 성급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